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1

[IT트렌드] 웹3.0(Web 3.0)이 도대체 뭐지? (2) 이전 포스트에서는 웹 3.0(Web3.0)의 개념을 간략히 요약하고, 포브스 기사를 통해 웹 3.0이 추구하는 가치와 이를 이루는 기술들을 대략 살펴보았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① 개인의 참여와 활동 확대 (교환거래, 경제적 이익창출 등) ② 투명성 ③ 분산화 세 가지 키워드로 웹 3.0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다. 왜 웹 3.0이 메타버스와 자주 연계되어 언급되는 지도 알아보자. 이전 포스트를 보고 오려면 클릭 ↓ 2023.02.02 - [IT 및 경영] - [IT트렌드] 웹 3.0(Web 3.0)이 도대체 뭐지? (1) - Forbes 기사 번역 포함 [IT트렌드] 웹3.0(Web 3.0)이 도대체 뭐지? (1) - Forbes 기사 번역 포함 웹 3.0이 도대체 뭐지? 새로운 인터넷 브라우저인가? 새.. 2023. 2. 5.
[IT트렌드] 웹3.0(Web 3.0)이 도대체 뭐지? (1) - Forbes 기사 번역 포함 웹 3.0이 도대체 뭐지? 새로운 인터넷 브라우저인가? 새로운 기능이 보완되는 크롬이나 마이크로소프트 에지(구 익스플로러)인가? (결론은 '아니다'!) 웹 3.0이라는 단어가 작년부터 심심치 않게 눈에 띄었는데, 이름만 봐서는 도대체 이게 뭔지 직관적으로 와닿지 않았다. 혹자는 웹 3.0이 인터넷의 미래라고 하고, 또 누군가(일론 머스크)는 그저 마케팅 용어일 뿐이라고 한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간단한 개념 요약과 ✔포브스 기사 번역을 통해 웹 3.0(Web3.0)을 대략 살펴보고, 다음 포스트에서 아래 세 가지 키워드를 통해 웹 3.0은 어떤 서비스가 어떻게 구현될 것인지, 관련된 개념들은 무엇인지 상세히 알아보겠다. ① 개인의 참여와 활동 확대 (교환거래, 경제적 이익창출 등) ② 투명성 ③ 분산화 .. 2023. 2. 2.
[IT트렌드] 신냉전, 미-중 기술패권 전쟁은 어떻게 펼쳐지고 있는가 (BBC 기사 번역 포함) AI, 5G, 우주, 방위산업, 로봇, 디지털 화폐 등 분야에서 기술 발전이 급속도로 가속화되면서 신냉전으로 불리는 미-중 기술패권 경쟁이 더욱 격화되고 있다. 그리고 그 핵심 기술인 '반도체'를 둘러싼 정치적, 경제적 전략 싸움이 치열하다. 과거에도 그러했고, 현재도 그렇듯이, 미래에도 최첨단 기술을 지닌 국가가 가장 강력한 국방력을 지닌 초강대국, 패권국가가 될 것이다. (건축과 공학이 발전했던 로마제국, 원양항해술이 발전했던 스페인과 포르투갈의 대항해시대, 산업혁명이 시작된 영국, 그리고 전자전기통신/제조를 선도한 미국, 4차 산업혁명 시대에는 과연 어느 나라가 최종 승자로 자리매김할까?) 이번 포스트에서는 BBC 기사를 번역해 미-중 기술 경쟁의 이유, 경과와 동향을 알아보겠다. (번역하면서 느낀.. 2023. 2. 1.
[IT트렌드] 디지털 시민성과 표현의 자유 -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사례 (BBC 기사 번역 포함) 디지털 대전환 시대에 반드시 갖추어야 할 민주적 시민역량으로 '디지털 시민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디지털 시민성에 대해 알아보고,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계정 정지 해제 사례를 BBC 기사로 읽어보면서 디지털 시민성과 표현의 자유가 충돌하는 문제에 대해 고민해보고자 한다. #디지털 시민성이란? 디지털 시민성(Digital Citizenship)은 인터넷을 사용하는 개인의 책임, 권리, 관습과 디지털 기술의 사용이 개인, 커뮤니티,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모두 지칭한다. 디지털 시민성은 온라인 안전성, 개인정보 보호, 디지털 활용역량, 소통, 디지털 권리와 책임과 같은 광범위한 개념과 행동을 모두 포괄한다. ✔ 디지털 시민성이 중요한 이유 많은 사람들의 일상에 디지털 .. 2023. 1. 30.
반응형